박손경(朴孫慶) : (1713 – 1782) 아름다운 효자. 효도와 우애의 본보기.
페이지 정보

본문
박손경(朴孫慶) : (1713 – 1782) 아름다운 효자. 효도와 우애의 본보기.
박손경은 효로 학문을 실천한 사람이다. 호는 남야南野 이다.
영남지방 퇴계학통에서 류성룡 학맥을 이은 선비이자 평생 효를 새기며 살았다.
박손경 문하에서 공부한 이가 200여명에 이른다고 하니 그의 학문을 미루어 가늠해 볼 수 있다. 안정복安鼎福은 그를 일러 이상정李象靖, 최흥원崔興遠과 함께 영남삼로嶺南三老라고 했다. 그러나 박손경은 학문으로 벼슬을 구하지 않고, 삶에서 효를 실천하는 길을 걸었다. 효도와 우애, 그가 걸어온 삶은 진실하고 간절했다.
금당실에서 태어난 박손경은 박성옥朴成玉의 장남으로 본관은 함양 박씨이며 박운朴蕓 · 박수서朴守緖로 이어지는 가학을 계승하였고 퇴계 이황을 사숙하였다.
박성옥은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의병장으로 추대되었고 금당실 금곡서원金谷書院에 모시고 있다.
박손경은 불천위不遷位 신위로 모셔지고 있다. 불천위란 나라에 큰 공을 남기고 죽은 사람은 5대 봉사가 끝나도 혼백을 묻지 않고 사당에 영구히 두면서 제사를 지내는 것이 허락된 신위이다.
1779년에는 암행어사 황승원黃昇源 이 임금께 박손경을 추천하는 글을 올린다. 학문이 뛰어나 나라 선비들을 가르칠만하다며 벼슬을 주청하였다. 임금은 그를
동 몽 교 관 童蒙敎官으 로 앉 히 려 하 지 만 이 번 에 도 부 모 님 을 공양해야한다며 거절하고 만다.
그는 성리학에 일가를 이루어 「논어혹문정의論語或問情義」와 「주서강록간보차의朱書講錄刊補箚疑」란 글을 남겨 성리학적 견해를 서술하였다.
효는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학문인, 가학家學에서 비롯된다.
성리학 근간이 이기심성理氣心性의 성리학 이론 보다, 부모에 대한 효성과 형제에 대한 우애 그리고 나라에 대한 충성 같은 실천을 더 중히 여겨 몸으로 지켜왔고 집집이 가르쳐 왔다.
박손경도 학문으로서 일가를 이루었지만, 벼슬 보다 효도와 우애를 몸으로 보여주는 삶을 택하고 걸어간 것이다.
- 이전글도시복(都始復) : (1817 - 1891)간절한 효성, 명심보감에 올라. 하늘 울린 효자. 25.01.08
- 다음글김주 : (1606 – 1681) 드높은 기개로 의리를 말하다. 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