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문화원

예천의 역사ㆍ축제

소중한 문화유산을 지키고,
미래의 문화를 열어가겠습니다.

국가민속문화유산 예천 남악종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예천문화원
댓글 0건 조회 865회

본문

 

예천 남악종택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48

지정일자 2007. 01. 12.

        대 조 선

수       량 일 곽

소 유 자 김종헌

소 재 지 예천군 용문면 구계길 43-8

 

  조선 중기의 문신인 남악(南嶽) 김복일(金復一:1541~1591)의 종택으로, 김복일의 종질이자 병자호란 때 척화신으로 이름난 불구당(不求堂) 김주(1606~1681)가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1981년 지붕을 고칠 때 인조 12(1634)에 용문사와 승() 운보(雲補)가 조성했다는 내용의 명문(銘文) 기와가 발견되어 이 가옥이 세워진 연대가 확인되었다.

국사봉의 지맥이 뻗어 내린 나지막한 야산을 배경으로 동남향하여 자리를 잡았다. 정면 9칸 측면 7칸의 자형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구성되고, 그 앞으로 자로 된 초가 문간채가 배치되어 있다. 안채의 상부 구조는 오량가이다. 대청 왼쪽에 온돌방을 1칸 꾸미면서 골방과 벽을 터서 안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골방 앞쪽 안방 자리의 일부를 부엌으로 개조하였다.

사랑채인 가학루(駕鶴樓)는 정면 3칸 측면 3칸에 팔작 기와를 얹은 오량가이다. 앞면의 경사지에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계자(鷄子) 난간을 두어 누각 형식의 품격 높은 외형을 가지고 있다. 누하주는 휘어진 곡재를 그대로 사용하고 사랑방의 반자는 우물 반자로 꾸몄다. 처마 곡선을 우아하게 처리하여 나란히 서 있는 문간채의 초가와 더불어 아름다운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영남 북부지방 민가의 기본적인 평면을 가진 주택으로 지형의 고저차를 적절하게 이용하였는데 각 공간마다 통풍과 채광이 원활한 쾌적한 평면 구성이 특징이다. 사대부 양반가옥의 주택 구성과 건축적 특성을 잘 갖추고 있어 고졸한 멋을 풍기는 가옥으로 민속적 가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