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문화원

예천의 역사ㆍ축제

소중한 문화유산을 지키고,
미래의 문화를 열어가겠습니다.

국가민속문화유산 예천 예천권씨 초간공파 종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예천문화원
댓글 0건 조회 1,230회

본문

 

예천 예천권씨 초간공파 종택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01

지정일자 1984. 12. 24.

        대 조 선

크      기 정면 5칸 측면 5

소 유 자 권영기

소 재 지 예천군 용문면 죽림길 43

 

  초간 권문해의 조부 권오상이 선조 22(1589)에 세운, 예천 권씨 종가의 종택이다. 숲이 우거진 낮은 뒷동산을 배경 삼아 다소 경사진 대지에 동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안채의 오른쪽 앞에는 사랑채(별당, 보물 제457)가 있으며, 오른쪽 뒤편에는 사당이 있다. 원래는 대문간채와 사랑채의 왼쪽에 연접된 부속채도 있었으나 철거되었다.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5칸의 자형 구조로 팔작지붕집이다. 막돌초석 위에 네모기둥을 세웠고 민도리에 홑처마집이다. 2단으로 높이 쌓은 기단 위에 세워졌고 중문 앞에 여러 단의 계단이 있어 건물 전체가 매우 높고 웅장해 보이며 고졸한 멋을 풍긴다. 안채의 평면은 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안방과 부엌을, 오른쪽에는 건넌방을 두었다. 안방의 왼쪽 모서리에는 도장방을 두었는데, 안방과 부엌에서 모두 드나들 수 있도록 하였다. 대청의 상부 가구는 제형판대공을 세워 종도리를 받고 있는 오량가 구조이다. 중문간은 안마당의 왼쪽에 치우쳐 있고 오른쪽으로 아랫방 2칸과 단칸의 고방이 자리 잡았으며 연접하여 오른쪽에는 자형의 안사랑채가 놓여 사랑채와 연결되어 있다.

사당은 안채 오른쪽 뒤편에 있다. 사당의 문틀 중앙에 수직으로 중간 설주가 서 있는데, 그 단편이 T자형으로 문받이를 겸하고 있으며 위쪽으로 밀어 올려서 떼어낼 수도 있다. 출입문에 중간설주가 있는 예는 다른 곳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붙였다 떼었다 하는 것으로는 이곳이 유일하다.

조선 전기의 우수한 건물로서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조선시대 초·중기 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